skip to Main Content

SOYOU BREAST CLINIC

소중한유여성외과

환자를 내가족처럼 소중히, 당신의 소중함을 지켜드립니다.

양성유방질환

유방통

주기적인 유방통

월경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방통증으로 젊은 여성에서 자주 나타나는, 많은 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생리적인 증상입니다. 생리주기에 따른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유방 조직이 자극을 받아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이러한 주기적 유방통은 별다른 치료없이 저절로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며 대부분은 유방암과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통증의 위치가 국한되고 오랜기간 지속된다면 유방전문의의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비주기적인 유방통

월경주기와 관계없이 유방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로 유방낭종,유선염등의 유방질환이나 늑연골,피부, 심장,식도 등의 유방 인접 장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카페인이나, 스트레스, 지방 과다 섭취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방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으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유방양성종양

악성암은 아니지만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유방낭종(물혹)

단순 유방 낭종은 균질하고 얇은 상피막 안에 액체로 채워져 있는 혹으로 보통의 경우 갯수와 크기에 상관없이 치료가 필요없으나 만져질 정도로 크거나 통증, 불편감을 느낄때에는 주사기로 내부의 액체를 빼내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 액체뿐 아니라 이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상피막이 두꺼워져 있거나 내부에 고형 성분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유방암 감별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합니다.

섬유선종

섬유선종은 가장 흔한 양성종양 중 하나로 20~30대 젊은 여성층에 잘 생기는 유방질환입니다. 잘 움직이고 주위 조직과의 경계가 분명하며 둥글고 단단한 고무같은 촉감과 대부분 통증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크기가 커지는 경우 엽상종과의 감별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크기가 커지거나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등에는 제거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유관내유두종

유관 내 생기는 혹으로 현미경 소견에서 상피 세포가 유두상으로 증식한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혈성 분비물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질환이며 폐경기 전후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생검에서 얻은 조직만으로는 유두암과의 감별이 어렵고 비정형세포가 동반된 경우 유방암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관내유두종으로 진단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엽상종

섬유선종과 매우 유사한 모양을 보여 섬유선종과 꼭 감별해야 하는 종양으로 섬유선종에 비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커지고 절제술 후 국소 재발을 잘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엽상종은 현미경 소견에 따라 양성, 경계성 , 악성으로 분류되며 총조직생검의 검체만으로는 이를 구분하기 어려워 엽상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꼭 완전한 수술적 절제를 통해 전체 조직검사 확인이 필요합니다.

유선염 및 유방농양

유방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염증이 생긴 것으로 대부분 18~50세 사이의 여성에게 발생합니다. 당뇨병이 있거나 다른 원인에 의하여 몸의 저항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유두를 통하여 세균이 감염되어 생기게 되며 이런 이유로 함몰유두인 경우 잘 생깁니다.

피부부위 발적을 동반한 통증과 열감, 눌렀을 때 현저한 통증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진행되어 유방농양이 생긴 경우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하고 물렁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비수유기에 생긴 유방농양은 치료 후에도 재발을 하거나 만성 경과를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만성육아종성유선염은 유방암과의 감별이 어려워 조직검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진료안내

02) 6326-9770~1

평일 09:00 ~ 18:00
토요일 09:00 ~ 15:00
점심시간(평일)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Back To Top